세 쌍둥이는 양육 환경에 따른 실험으로 각각에 다른 집안에 보내졌다.

  • 인물
    • 에디 중산층 집안. 엄격한 교사 아버지 밑에서 자랐으나 셋 중 가장 활동적이며 쾌활했고 쌍둥이에 대한 우애와 사랑이 넘쳤지만… 세 쌍둥이가 트러블이 생긴 이후 조울증이 지속되며 결국 자살에 이르게 됨
    • 데이비드 빈곤층 집안. 그러나 아버지가 굉장히 사랑이 넘치시는 분이였고 영상에서도 데이비드가 나오는 모습을 보면 정신적으로 건강해보임. 쾌활한 면은 에디와 바비 중간 사이 정도라고 소개됨.
    • 바비 상류층 집안. 아버지가 의사이며 바쁘셔서 잘 놀아주지는 못하셨음. 셋 중에서 제일 소극적이고 내향적? 인 느낌

알고보니 세쌍둥이는 양육 환경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심리 실험으로써 연구되어 왔었다.

  • 정보

    1. 셋 다 유전자의 영향인지, 담배, 이성, 레슬링을 했던 것까지 취향이 같았다. 그리고 사춘기 시절에 정신적 이상 문제가 있었다. 다른 실험으로 연구된 쌍둥이들도 놀랍도록 같았던 경우가 있었다.
    2. 양육 환경의 차이 때문인지는 몰라도 에디는 성인이 되어서도 조울증이 지속되어 왔다.
    3. 똑같이 생기고 많은 점이 비슷함에도 불구하고 세 쌍둥이 각각의 부인들은 자기의 남편이 셋 중에서 제일 특별하다고 생각되는 점이 재미있었음.
  • 보고 나서 드는 생각

    1. 유전자의 영향이 생각보다 굉장히 크지만 세월이 갈 수록 양육 환경의 차이가 성격, 정신적 탄력성? 등에 영향이 커진다. (셋의 성격이 은근히 다른 것 처럼)
    2. 집안의 소득 수준보단 부모의 양육 방식이 중요하다. 아이를 사랑으로 품는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3. 쌍둥이는 확실히 서로에 대한 애착이나 정이 다른 형제들이랑 차원이 다른 것 같다. 예전에 봤던 쌍둥이 관련 다큐멘터리에서도 서로를 영혼의 짝이라 생각되는 모습들을 보면서.. 궁금하고 부럽기도 하다. 나라면 나와 똑같이 생긴 2명이 나와 거의 똑같이 행동한다면 좀 무서울 것 같은데…
    4. 쾌활하고, 사랑이 넘치는, 같은 외부로 보여지는 모습은 정신적으로 그 사람이 얼마나 안정적인지 판가름내릴 기준이 되지 못한다. 나는 알게 모르게 외향적이고 쾌활하고 정이 많은 사람을 보면 정신이 안정적이라는 생각이 있었다. 하지만 그런 외부로 보여지는 모습과는 별 상관이 없을 수 있다.
    5. 기호나 취향, 방식의 같음이 내면의 같음은 아니다. 유전자의 영향이 큰 측면과(기호) 환경적인 영향이 큰 측면(내면)이 있는 것 같다.
    6. 실험은 비윤리적이다. 그러나 이 실험을 한 심리학자도 나쁜 의도로 실험을 한 게 아니라 양육 환경에 따른 차이에 대해 연구를 해서 심리학에 이바지하고자 하는 공익적인 면도 있었을 것이다. 이 실험의 결론을 제대로 발표하지 않은 점에 대해선 의문스럽지만, 이 실험의 과정을 보면서 어느 정도 짐작되는 결론이 있지 않은가. 그렇지만 그것 보다 개개인의 윤리적인 측면이 중요하다는 것에는 반박이 없을 것이다. 사회의 공공의 이익을 위해 개인의 인권이 침해된다면 점점 더 그런 일이 당연해지고 가속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마냥 비난하기보다는 시대적인 측면을 배제하면 안 된다. 내가 여러 심리학책을 읽으면서 봤을 때도 1950, 1960년대에는 수많은 심리 실험들이 윤리적 문제가 제기되지 않은 채로 시행됐다. 참.. 안타까운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