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을 때의 시점에서 일, 개발할때의 가치관을 적는다.
깨달은 경험들을 적는다.


2025.10.02 18:37

  1. 선언적 스펙 기반, 리소스 기반의 코드를 작성하라
    선언적 리소스는 앞으로 어떤 변화가 오더라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만 교체하면 그만이다.
    모든 근원을 선언적 리소스로 두어라.
    이것은 함수형 프로그래밍으로 작성하라는 것이 아니다.
    선언적에 관한 것들은 다음과 같다. - nix flake, gitops, sops, declarative programming

  2. 모든 것은 trade off
    내가 하는 모든 엔지니어링 결정에는 항상 거래되는 다른 항목이 있음을 인지하자.
    개발자라면 개발자의 눈에는 간과하게 되는 다른 trade off 되는 항목들이 많다. 억지로라도 반대 면을 봐라.
    큰 결정에는(예를 들어 아키텍처적 결정) 그 만큼 큰 trade off가 있으니 신중하게 생각해라.


2024.03.28 17:42

  1. 개발환경과 빌드에 의존성이 추가 되는 것은 가능한 줄여야 한다.
    예를 들어 styled-component, emotion 같은… 추후 마이그레이션 비용의 증가, 다른 패키지와의 의존성 문제 등이 생긴다.

  2. 유지보수와 생산성에는 간단 명료함이 최고다.
    특히 팀원들이 많을 수록 더 그렇다.
    개발 생산성을 높일 무언가를 만드는데 난이도가 높고 노력이 많이 든다면 유지보수하는데도 높은 전문성과 많은 힘이 들 것이다.
    시간이 결국 팀 내에 레거시로 자리잡게 된다. 당장 생산성을 높이는 듯 보이지만 이 빠르게 변화하는 개발 환경에서 도태될 것이다.

  3. 회사에서 결과물의 우선 순위는 다음과 같다
    1.기간
    2.제품 퀄리티(버그가 적게)
    3.그 외

  4. 개발 생산성을 높이는 것은 팀 내의 멘탈 모델 통일이 먼저이다.
    어떠한 명세, 공통 사용 방법, 공통 정의를 우선시 하자.
    단지 그것을 공유하고 논의하는 것 만으로는 큰 의미가 없다. 정해진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 하지만 전투 테스트를 거치며 분명히 수정해야 하는 점들이 많을 것이다.
    적용하는데에 있어서 사공이 많다면 사공을 줄이는 것을 더 우선적인 목표로 삼는다.

  5. 내가 같은 회사를 오래동안 다니고 있는데 신규 입사자가 온다면 적응을 도와주고 최대한 겸손하고 친절해져라.
    그 모습들이 내 어떤 기술적인 역량보다 팀적으로 더 큰 역량이 될 것이다.

  6. 누군가에 대해서 좋지 않은 말을 하면 그 상대방은 무조건 알게 된다는 것을 명심하자.
    이야기를 할 것이라면 무조건 그 당사자에게 첫 번째로 말하고, 가능한 당사자 말고는 얘기하지 말자.
    누군가에 대한 얘기를 3자에게 하는 것은 결국 내 평판이 된다. 좋은 얘기를 하면 내 평판도 좋아지고 험담을 하면 내 평판도 박살난다.

  7. 같이 일할 동료들과 1:1로 이야기를 신청해서 나눠보자.
    1:1 대화에서 적응하기 위한 여러 팁들을 알 수 있고 상대방과 나를 알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8. 개발 팀원들의 요구사항들을 만족하기 보다는 결과물 제공을 우선시 하자.


2024.03.30 22:13

새로운 회사에 들어갔을때 3개월간 닥눈삼(개월) 해야할 것들

  1. 기간을 맞추고 좋은 결과물 제공하기(코드적으로가 아닌)
    • 업무 성과에 집중: 자신이 맡은 업무에서 뛰어난 성과를 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것은 당신의 업무 능력을 증명하고, 팀에 기여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인상을 줍니다.
    • 기한 준수: 약속한 기한 내에 고품질의 작업 결과물을 제공함으로써 신뢰성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2. 호의적인 태도*
    • 긍정적인 커뮤니케이션: 동료와 리더와의 의사소통에서 긍정적이고 친절한 태도를 유지하세요. 이것은 원활한 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도움 제공하기: 가능할 때 동료들에게 도움을 제공하여 호의를 베풀면, 당신도 필요할 때 그들로부터 지원을 받게 됩니다.
  3. 겸손한 태도
    • 열린 마음 가지기: 새로운 환경에서 배울 점이 많다는 것을 인지하고, 겸손하게 지식과 경험을 받아들입니다.
    • 피드백 수용하기: 비판적인 피드백도 긍정적으로 받아들여 개선점으로 삼으세요.
    • 신뢰가 구축되면 자신만의 아이디어나 프로젝트를 제안하는 등 좀 더 적극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내세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도 계속해서 위 세 가지 원칙(좋은 결과물, 호의적인 태도, 겸손)을 잊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첫 3개월간 신뢰 자산을 쌓음으로써 장기간에 걸쳐 안정된 관계와 성공적인 경력 발전 기반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